티스토리 뷰

꾸준한 달리기 습관이 건강관리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은 널리 알려진 기본 상식인데요. 관절 질환 혹은 무리한 활동에 따른 급성으로 재발 위험이 있는 특정 질환이 있다면 주의해야 하겠지만, 꾸준한 달리기 습관이 가진 여러 건강 효용성은 매우 탁월한 것으로 정평이 나 있습니다. 그리고 간혹 달릴 때 숨은 턱까지 차오르지만 기분이 상쾌해지면서, 날아갈 것 같은 도취감을 느낄 때가 있는데요. 이렇게 느끼는 쾌감을 러너스 하이라고 합니다. 이 러너스 하이는 우리의 뇌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흔히 '하늘을 나는 기분' 혹은 '꽃밭을 거니는 기분' 등으로 표현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러너스 하이에 관한 다양한 정보들에 대해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하는데요. 러너스 하이는 운동 중독이라는 부작용도 유발할 수 있는 만큼, 이 점도 잘 확인하시길 바랄게요. 그럼 지금부터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러너스 하이 뜻 및 부작용 자연스럽게 느끼는 법

 

 

 

 

러너스 하이(Runner's High)의 정확한 사전적 의미는 격렬한 운동을 하면서 느끼는 짜릿한 쾌감이라고 하는데요. 30분 이상 달렸을 때 느껴지는 도취감을 뜻하며, 조깅 하이나 운동 하이, 러닝 하이 등의 여러 명칭으로도 불리고 있습니다. 이 러너스 하이 현상이 나타나면 마치 공중에 붕 떠 있는 것 같은 들뜬 기분을 느낌과 동시에 오랜 시간 달려도 전혀 피곤하거나 지치지 않으며, 현재 상태 그대로 쭉 달려도 괜찮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는 것이 주요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러너스 하이 개념을 처음 만든 사람은 아놀드. J. 맨델이란 미국의 심리학자인데요. 그가 1979년 발표한 정신과학 관련 논문인 세컨드 윈드(Second Wind)에서 처음 소개된 용어라고 합니다. 이 러너스 하이는 달리기 뿐만 아니라 축구와 야구, 수영, 럭비, 스키, 사이클 등의 장시간 지속되는 운동에서도 느낄 수 있다고 하는데요. 특히 42.195km를 달리며 극한의 고통을 경험하는 마라톤 선수들도 많이 느끼는 현상이라고 합니다. 마라톤 선수는 개인차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35km 지점을 넘긴 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러너스 하이 현상이 발생하는데 가장 영향을 준다고 추정되는 물질은 엔돌핀인 것으로 알려진 바 있습니다. 이 엔돌핀은 각종 매체에서도 많이 다뤄진 익숙한 개념인데요. 뇌하수체에서 분비가 되며, 탁월한 진통 효과를 가진 물질로 잘 알려져 있는데요. 유산소 운동을 할 때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다가, 운동강도가 높아지고 산소가 부족해지는 무산소 상태가 이르게 되면 급격히 분비량이 늘어나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고 해요. 따라서 달리기를 하며 일정 시간에 도달하면 고통과 함께 엔돌핀 분비가 일어나면서 짜릿함과 도취감을 느끼는 원리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러너스 하이 현상을 느끼는 법은 개인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나긴 하지만, 통상 30분 이상, 1분에 120회 이상의 심장박동수로 격렬히 달렸을 때 러너스 하이를 느낀다고 해요. 문제는 이 짜릿한 쾌감을 한 번 느끼고, 이후에도 다시 이런 느낌을 경험을 하기 위해서 운동을 무리하게 하는 경우인데요. 흔히 운동 중독이라고 불리는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운동 중독은 자신의 현재 몸 상태가 어떤지에 대해서 전혀 개의치 않고. 하루라도 달리지 않는다면 불안과 초조, 짜증, 불쾌감, 죄책감 등의 부정적인 감정이 증폭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운동 중독이 일으키는 또 다른 문제점은 신체 손상의 가속화에도 영향을 준다는 점입니다. 건강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하는 운동이 반대로 건강을 해치는 역설을 낳는 경우라고 할 수 있죠. 운동을 지속할 땐 강도에 대한 내성이 점차 강해지기 때문에 러너스 하이를 느끼기 위해선 운동 강도를 점차 높일 수밖에 없는데요. 이렇게 현재 몸 상태를 아랑곳하지 않고 운동 강도를 계속 높였을 땐 근육과 관절, 인대 등이 심각한 손상을 입을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심장과 같이 생명과 직결된 중요 기관에도 무리를 가해 심장 관련 질환들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점도 운동 중독이 야기하는 치명적인 부작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나친 스트레스와 긴장 상태에서는 러너스 하이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마라톤 선수가 극한의 경쟁 상황에선 이 러너스 하이 현상을 경험하지 못하는 것이 그 이유를 증명하고 있는데요. 그리고 러너스 하이를 느끼기 위해 의도적으로 더욱 무리한 운동을 하면 앞서 언급된 운동 중독으로 신체가 더욱 손상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러너스 하이를 가장 자연스럽게 느끼는 것은 자신의 체력 범위 내에서 편안하게 하는 것이 좋으며, 달리는 시간과 거리를 점진적으로 늘려가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상 오늘 준비한 러너스 하이 관련 정보는 모두 마치도록 할게요. 소개된 정보가 유용한 정보가 되길 바라며 오늘도 행복하고 건강한 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