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무분별하고 안일하게 버려지는 쓰레기는 환경 파괴의 주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비용과 인력을 들여 여러 조치들이 시행되지만, 과도한 쓰레기로 인한 부작용은 나날이 심각한 문제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플로깅은 이렇게 과도하게 버려지는 쓰레기로 인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개념인데요. 환경보호라는 사회적 참여라는 실리와 명분이 더해지면서 최근 개인은 물론 기업이나 지자체의 참여도도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플로깅의 정확한 의미 및 여러 관련 정보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플로깅 의미

 

 

 

 

자연 환경을 지키기 위한 자발적 환경 보호 운동 중 하나인 플로깅(plgging)은 2016년 스웨덴에서 처음 시작되었다고 하는데요. 스웨덴어의 '플로카 업(plocka upp: 줍다)과 조가(jogga: 조깅하다)를 합성하여 만든 '플로가(plogga)라는 용어의 명사형으로, 쓰레기를 주으며 조깅을 한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줍다라는 말과 조깅의 단어가 합쳐져 줍깅이란 이름으로도 불리고 있습니다.

 

 

 

 

플로깅은 스웨덴의 평범한 회사원이었던 에릭 알스트롬이 먼저 제안하였다고 하는데요. 이후 플로깅 활동을 조직적으로 펼치기 위하여 플로가(plogga)라는 웹사이트를 만들었으며, 플라스틱 폐기물이 초래한 환경 오염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북유럽을 중심으로 점차 확산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2018년 무렵부터는 유럽 전역을 비롯해 아메리카, 아시아 등으로 퍼져나갔다고 하는데요. 우리나라에서도 여러 지자체와 기관, 단체, 기업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플로깅 캠페인과 이벤트 행사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플로깅은 환경보호 운동에 참여하는 자부심 뿐만 아니라 쓰레기를 줍는 과정 자체가 근력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쓰레기를 줍기 위하여 무릎을 구부렸다 펴거나, 쪼그려 앉았다 일어섰다 하는 동작이 대표적인 하체 근력 운동인 런지와 스쿼트와 자세가 비슷하다고 하는데요. 이러한 효과로 허벅지와 엉덩이, 종아리 등의 하체 근육을 증진시키는데 좋은 작용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

 

 

 

 

또한 플로깅은 유산소 운동 효과도 얻을 수 있다고 하는데요. 수거한 쓰레기를 들고 뛰기 때문에 심장과 폐를 튼튼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혈압과 심박수를 낮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작용으로 성인병을 예방하고 개선하는데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칼로리 소모가 많아 일반 조깅에 비해 훨씬 더 좋은 운동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스웨덴의 피트니스 앱인 라이프섬에 의하면 30분 동안 조깅을 했을 때 소모되는 칼로리는 평균 235kcal 정도이지만 같은 시간 동안 플로깅을 하는 경우 평균 288kcal 정도를 소모할 수 있다고 합니다.

 

 

 

 

플로깅을 할 때는 장갑과 쓰레기를 수거할 봉투를 챙기고, 목적지까지 달리면서 눈에 보이는 쓰레기를 주워 분리수거하면 된다고 하는데요. 자신이 평소 이용하는 조깅 경로나 공원, 동네, 숲, 해변 등의 원하는 장소 및 시간을 정해서 하면 된다고 합니다. 플로깅은 일반 조깅을 할 때보다 에너지 소모가 더욱 크다는 점을 고려하여 자신의 체력 범위에 맞는 코스를 짜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운동 효과를 높이고,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플로깅을 하기 전에는 스트레칭 및 체조 등으로 준비운동을 충분히 해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상 플로깅의 의미 및 관련 정보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소개된 여러 정보들이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며 오늘 하루도 행복하고 건강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