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메뉴를 고를 때를 비롯하여 사소한 일에 결정을 못하고 망설일 때가 있는데요.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할 때는 세심하고 깊은 숙고 과정을 거친 이후 결정하는 것은 합리적인 방향이라고 할 수 있지만, 선택을 계속 미루거나 우유부단한 태도를 가진다면 정신적 혼란스러움을 더욱 가중될 수 있습니다. 결정장애는 선택을 내려야할 시점에 어떠한 것을 선택해야 할지 혼란을 느끼는 상태를 말하는데요. 중요한 의사결정은 물론이고 일상의 사소한 선택에도 정신적 혼란을 느끼고, 증상 악화 시에는 우울증과 불안증, 대인기피증, 번아웃증후군 등의 발생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결정장애의 원인 및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결정장애 발생 원인

 

 

 

 

결정장애의 증상 발생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개인적인 성향과 성장 배경, 자아 정체성 상실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부모의 선택과 결정에 의존하는 수동적인 유년기를 보낸 것이나 과도한 정보 홍수 속에서 결정을 미루는 것이 습관화된 것도 발생에 영향을 끼치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특히 홍수처럼 범람하는 정보로 뇌의 정보처리 용량을 초과할 때 뇌가 과부하가 될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이 결정장애를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실제 정보의 양이 적었던 예전에 비해 과도한 정보가 쏟아지는 근래에 이르러서는 결정장애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더욱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고 합니다.

 

 

 

 

결정장애는 선택장애라고도 불리지만, 햄릿증후군이란 명칭으로도 불리고 있습니다. 햄릿증후군은 영국이 낳은 세계적인 대문호인 셰익스피어의 작품 <햄릿>에서 착안한 것으로, 작품 속 주인공인 햄릿이 자신의 운명을 적극적으로 맞서지 못하고 끊임없는 내적 갈등을 겪는 것에 기인한 신조어라고 하는데요.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라는 작품 속 햄릿 대사가 햄릿 증후군을 하나의 문장으로 압축시킨 상징적 의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결정장애로 인한 일상 속 선택의 어려움은 정신적 혼란스러움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다른 이차적인 문제까지 발생시킬 수 있는데요. 계속되는 정신적 혼란함으로 삶의 의욕이 급격히 저하됨은 물론 공감 능력이 떨어지면서 결정에 더욱 어려움을 겪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해당 증상이 더욱 악화가 될 시 우울증과 불안장애, 번아웃증후군 등의 문제를 유발하며, 최악의 경우엔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도 있습니다.

 

 

 

 

결정장애를 극복하는 중요한 방법은 완벽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는 완벽주의 생각을 버리는 것인데요. 자신의 모든 선택이 완벽해야 한다는 생각이 결정장애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어떠한 상황에서 가장 올바른 판단을 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버리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리고 자신의 결정으로 뒤따르는 일들을 온전히 받아들이고, 감수하겠다는 생각 역시 햄릿증후군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아울러 자신이 해결하고 판단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 문제라고 판단이 들 때는 주변인과 대화를 해보는 것도 극심한 내적 스트레스를 줄이고, 문제의 해결점을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결정장애는 불규칙한 잘못된 생활패턴은 결정장애의 증상을 악화시키는 뇌의 과부하와 피로도를 더욱 심화시켜 악순환을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충분한 휴식과 수면, 적절한 운동, 취미활동 등을 꾸준히 지속해 뇌의 과부하를 적절히 해소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울러 뇌 건강 증진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규칙적인 식사 패턴을 유지하고, 각종 채소와 과일 등을 골고루 섭취해주는 것도 뇌의 과부하 및 피로도 해소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이상 결정장애의 원인 및 극복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소개된 여러 정보들이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며 오늘 하루도 행복하고 건강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