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날씨가 선선해지는 가을철에는 외부에서의 활동이 늘어나게 됩니다. 특히 등산은 울긋불긋하게 변화한 단풍을 볼 수 있기 때문에 가을철 많이 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등산을 함에 따라 몸과 마음이 상쾌해지는 효과 뿐만 아니라 다양한 건강 효과까지 얻기도 합니다. 하지만 예기치 못한 돌발사고 역시 등산 중에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10월은 등산에 관련된 가장 많은 사고가 발생하는 시기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해가 떨어질수록 산 속의 온도 역시 급격히 떨어진다는 특성으로 혈관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특히 고혈압과 당뇨, 심장병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엔 위험성이 더욱 커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여러 안전수칙들을 잘 파악하여 더욱 각별한 주의 및 수칙 준수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가을철 등산 시 여러 안전수칙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을철 등산 안전수칙
1. 산행 전 준비운동
등산 시 가장 주의해야할 사항은 예기치 못한 부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충분한 준비운동을 하지 않고 갑자기 산행을 할 경우에 무릎과 여러 관절의 부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부상을 입기 쉬운 발목을 비롯해 목과 허리, 무릎을 중심으로 스트레칭을 하고, 몸 전체의 근육을 풀어주는 준비운동을 충분히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평소 운동량이 적은 경우 갑작스러운 산행은 큰 부상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산행 전 준비운동은 필수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2. 여러 겹의 옷 착용
가을철에는 낮과 밤의 일교차가 커지는데요. 특히 산은 낮의 길이가 짧고 기상변화가 크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렇게 큰 일교차를 겪게 되면 감기에 걸릴 가능성이 높으며, 저체온증 및 탈진 등으로 이어질 경우 몸에 더 큰 무리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꺼운 겉옷을 하나 입는 것보단 얇은 여러 개의 옷을 입어서 변화하는 온도에 따라 입고 벗는 게 체온 유지에 효과적인 작용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
3. 등산화 착용
등산화가 아닌 일반 운동화를 신고 등산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가을철 많이 떨어지는 낙엽을 비롯해 바위 등에는 물기가 묻어 있을 때가 많아서 자칫 방심할 경우 미끄러짐과 동시에 잘못 디딤으로 인해 부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의 발에 맞는 등산화를 필히 신고 등산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울러 등산스틱과 같은 안전보조장비를 이용하는 것도 산행 중 발생하는 예상치 못한 부상을 막을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4. 일정한 속도 유지
너무 빠른 속도로 산행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너무 빠른 속도로 등산을 하는 것은 몸에 큰 무리를 줄 뿐만 아니라 부상의 위험도 높이게 됩니다. 특히나 기저질환이 있을 시 빠른 속도의 무리한 등산은 오히려 독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따라서 자신의 체력 범위에 맞게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여 산에 오르는 것이 좋으며, 산길의 형태에 따라 속도를 알맞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울러 일정 시간 걸은 이후엔 휴식을 취해주는 것도 매우 중요한 수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5. 에너지 보충을 위한 간식 준비
등산은 일반 운동에 비해 더욱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고 하는데요. 그리고 기상상태에 따라 에너지 소비량이 더욱 커질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에너지 보충을 위해 간식을 준비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간식을 빠른 시간 내에 에너지 보충에 뛰어난 초콜릿과 에너지바, 과일, 견과류 등의 고열량 음식들을 준비하는게 좋다고 합니다. 아울러 등산을 하게 되면 빠른 에너지 소모와 더불어 체내 수분 역시 빠르게 소모가 되기 때문에 탈수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지는데요.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물도 충분히 준비를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그 외 안전수칙
등산에 앞서 날씨와 일몰 등의 기상 상황을 잘 파악하고, 자신의 체력 범위에 맞는 등산코스 선정 및 소요시간, 위험구간 등의 정보들을 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예상치 못한 비상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자신의 현재 위치들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또한 가을은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기후가 건조하여 작은 불씨에도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성냥이나 라이터 등의 인화성 물품의 소지를 피해야 하며, 지정된 장소를 제외한 장소에서 취식 행위 역시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산행 중 음주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술을 마실 경우 돌발 상황을 대처할 반사 신경이 느려지게 하여 큰 부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에 적은 양일 지라도 마시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상 가을철 등산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여러 수칙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소개된 여러 정보들이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며 오늘 하루도 건강하고 활기찬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복 유산소 운동 정보 확인해볼까요 (0) | 2022.09.26 |
---|---|
늑간신경통 증상 및 치료 예방법 살펴보아요 (0) | 2022.09.25 |
루바브 뿌리 추출물 효능 및 부작용 살펴봐요 (0) | 2022.09.23 |
대장암 막는 습관 확인해볼까요 (0) | 2022.09.22 |
두통에 좋은 차 정보에 대해 알아봐요 (0) | 2022.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