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무덥고 습한 날씨가 지속되는 여름철에는 날씨의 영향으로 신체 전반적인 기능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됩니다. 특히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7월 말에서 8월 중반까지의 폭염 시기에 장시간 야외활동을 하게 되면 많은 땀 배출로 몸에 큰 무리가 올 수 있습니다. 더욱이 강한 햇빛에 오래 노출되거나, 온도가 높은 환경에 오랜 시간 머무를 경우 체온이 급격히 올라가게 되면서 일사병과 열사병, 열경련, 열실신 등과 같은 온열질환들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온열질환들의 발생 시 어지럼증, 발열, 구토, 근육 경련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는데요. 그리고 증상이 급격히 악화가 될 경우에는 의식 장애와 혼수 상태를 일으킬 수 있고, 최악의 경우에는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상황까지 초래할 수 있기에 각별한 주의와 관리 방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여름철 온열질환을 예방하는 여러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름철 온열질환 예방법
1. 수분 풍부하게 섭취
여름철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수분을 충분하게 마셔주는 것입니다. 몸속 수분 항상성을 위해 하루 6~7잔 정도의 충분함 물을 마셔주는 것이 좋은데요. 갈증이 나지 않더라도 물을 틈틈히 마셔주는 것이 좋으며, 특히 무더운 여름철이나 운동을 한 이후 땀 배출이 많을 때는 수분이 충분하게 공급되어져야 합니다. 아울러 당분의 함유가 적은 스포츠 음료나 이온음료 등을 섭취하는 것도 땀 배출로 인한 수분과 전해질 손실을 막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그 외에 수분 함량이 높은 수박과 참외, 복숭아, 오이 등의 여러 음식들을 균형 있게 섭취해주는 것도 수분의 손실 억제 및 체온의 급격한 상승으로 인한 온열질환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2. 카페인 음료 섭취 이후의 야외 활동 주의
앞서 언급된 물이 아닌 카페인이 포함된 에너지 음료와 탄산음료, 커피 등을 마신 이후에 야외활동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러한 코카페인 음료는 이뇨작용을 촉진해 체내 수분을 더욱 빠르게 배출시킬 뿐만 아니라 체온의 상승을 초래해 탈수 및 온열질환 발생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아울러 카페인 포함 음료 뿐만 아니라 술을 마신 이후에 더운 시간대에 활동을 하는 것 역시 체온의 급격한 상승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3. 가장 더운 시간대에 활동 자제
햇빛이 강한 시간대에 무리한 활동이나 운동을 할 경우 체온의 급격한 상승을 유발해 온열질환들의 발생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햇빛이 강하고 온도가 가장 올라가는 시간대인 낮 12시부터 오후 5시까지의 야외활동을 하는 것이 좋으며, 무더위가 절정에 도달하는 폭염 시기에는 더운 시간대의 활동은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당뇨와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자나 면역기능이 약한 노인, 어린이의 경우에는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4. 야외 활동 시에는 밝은 계열의 옷 착용
기온이 높은 시간대에 야외활동을 하는 경우에 어두운 색 계열의 옷을 착용하면 햇빛을 흡수하여 체온의 상승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밝은 색 계열의 옷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꽉 끼는 의류보다는통이 크고 헐렁한 옷을 입는 것이 체온 상승을 막는데 좋으며,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챙이 긴 모자나 양산 등을 이용하는 것도 햇빛이 직접 닿는 것을 막아 체온이 올라가는 것을 막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외출을 하고 돌아온 이후에 샤워를 하는 것도 열을 식혀주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5. 충분한 휴식
햇빛이 강한 시간대의 야외활동 및 운동을 하고 난 이후에는 햇빛이 차단된 그늘진 곳에서 충분히 휴식을 취해주어야 합니다. 특히 폭염 시기에는 1시간 주기로 10~15분 정도 휴식을 취해 무리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는데요. 어지럼증과 두통 등의 온열질환 초기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모든 활동을 멈추고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바람이 통하지 않는 덥고 밀폐된 공간에서의 휴식은 오히려 체온을 더욱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이 잘 통하는 시원한 곳이나 냉방이 되는 곳에서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6. 실내 온도 주의
더운 날씨의 야외 뿐만 아니라 냉방이나 환기가 잘되지 않는 실내에서도 온열질환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는데요. 특히 수분 섭취가 충분하지 않는 경우 더운 실내에서 과도하게 땀을 배출하게 되면 야외에서와 같은 온열질환 발생 위험이 커질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냉방장치 및 주기적인 실내 환기를 통해 실내를 쾌적하고 시원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특히 온도가 높은 실내에서 작업을 할 경우에는 더욱 세심한 관리와 주의가 필요합니다.
7. 증상이 발생했을 시에는 적절한 조치
온열질환 의심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의식이 있다면 시원한 장소로 이동시켜서 옷을 헐렁하게 하고, 차가운 수건 등을 이용해 몸을 최대한 시원하게 해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물과 음료 등을 통해 수분을 적절히 공급해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러한 조치에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으면 최대한 빠르게 119구조대에 도움을 요청해야 합니다. 그리고 온열질환 발생 시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최대한 신속히 119구조대에 도움을 요청하고, 몸을 최대한 시원하게 해줘야 하는데요. 의식이 없을 때 물이나 음료 등을 마시게 되면 질식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이상 온열질환의 예방에 대한 여러 정보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소개된 여러 정보들이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며 오늘 하루도 행복하고 건강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마토와 같이 먹으면 좋은 음식 알아보아요 (0) | 2022.06.16 |
---|---|
광각막염 증상 및 예방 정보 확인하세요 (0) | 2022.06.15 |
탈수 증상 및 예방 대처 방법 알아봐요 (1) | 2022.06.11 |
신장 건강 지키는 습관 살펴볼게요 (0) | 2022.06.10 |
방광 건강에 좋은 음식 살펴보아요 (0) | 2022.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