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다양한 식품들에는 제품명과 원재료, 제조자 등의 정보와 함께 제조일자, 유통기한, 소비기한, 품질유지기한 등의 주요 정보들이 표기되어 있는데요. 이 중 표기된 유통기한에 따라 신선도와 변질 여부를 파악하여 대부분의 식품들은 유통기한이 지나게 되면 폐기처분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유통기한이 지났다 하여 무조건 식품이 변질되는 것은 아니라고 하는데요. 이러한 이유는 유통기한과 다른 소비기한이란 개념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런 유통기한 및 소비기한의 정확한 의미들을 잘 파악하여 식품의 적절한 보관 및 관리가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에 따른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통기한 소비기한 차이점
유통기한이란 1985년 도입된 것으로, 처음 제조날짜로부터 상품이 소비자에게 유통 및 판매가 되는 기한을 말하는데요. 식품의 안전성을 보장해주는 기한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유통업자가 그 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법정기한이 정확한 의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은 진열을 하거나, 판매가 금지가 되는데요. 이 기한을 넘긴 식품은 부패 또는 변질되지 않았더라도 판매를 할 수 없어서 제조업체로 반품이 됩니다. 유통기한이 하루 이틀 지났다고 변질되지는 않으나, 식품을 보관하는 방법이 잘못되어 변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소비기한은 소비자가 식품을 먹어도 건강상 이상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는 소비 최종시안을 말하는데요. 소비기한을 기준으로 조건을 지켰을 때 미생물 부패 변화 검사 결과에 따라서 소비기한이 결정됩니다. 유통기한은 식품의 품질이 변화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60~70% 정도 앞선 기간이며, 소비기한은 80~90% 앞선 기간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유통기한에 비해 소비기한이 더욱 길다고 할 수 있는데요. 일본과 유럽, 호주 등의 국가들은 대부분 소비기한 표시제도를 시행하거나, 유통기한과 병행하여 표기하고 있습니다.
제조일자는 제조 및 가공이 끝난 시점으로, 장기간 보관해도 부패와 변질 우려가 낮은 설탕, 소금, 빙과, 소주 등의 식품에 주료 표기하게 됩니다. 그리고 품질유지기한은 제품 고유의 품질이 유지되는 기간을 말하는데요. 모든 식품에 표기되는 것이 아닌 장기간 보관해도 부패의 우려가 적은 당류와 장류, 절임류, 레토르트 등의 식품에 유통기한 대신 품질유지기한을 표시하게 됩니다. 그 외에 식품 섭취가 가능한 최종기한을 의미하는 종료기한도 있습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은 법적으로 진열이 금지되어 있고, 판매가 되지 않지만 보관기준을 잘 지킨다면 유통기한을 조금 초과하더라도 품질에는 큰 변화가 없다고 합니다. 그리고 품질유지기한 표시 대상 식품 역시 장기간 보관해도 급격히 품질이 변화하거나 변질된 우려가 적기 때문에 약간의 기간을 초과한다 할지라도 섭취가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그렇지만 소비 최종시안을 의미하는 소비기한을 초과한 식품일 경우에는 먹어선 안 되며, 가급적 모든 식품은 날짜 표시를 준수해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식품을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통기한 및 소비기한을 지키는 것도 필요하지만, 제품의 특성에 맞는 보관기준에 따라 철저히 관리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데요. 특히 냉장제품은 0~10℃ 온도 기준에서 벗어나거나, 제품이 개봉된 채 보관하면 해당 기간까지 제품의 안전하다고 보장될 수 없기 때문에 부패 및 변질에 따른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제품에 표기된 보관기준에 따라서 잘 관리해야 합니다.
이런 유통기한 표기방식이 안전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지만, 소비 가능한 식품의 폐기를 유도한다는 지적도 많았는데요. 실제 소비기한의 도입 시 음식물 섭취 기간이 늘어나 식품 폐기 비용 및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2012년 7월부터 판매할 수 있는 유통기한과 먹어도 안전하다고 판단되는 소비기한을 나눠 표기하는 시범사업을 시행하였는데요. 2023년부터는 제품에 유통기한 대신 소비자가 실제로 섭취할 수 있는 소비기한으로 표시되어 판매가 된다고 합니다.
이상 유통기한 및 소비기한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소개된 여러 정보들이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며 오늘 하루도 행복하고 건강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주 살균 및 관리 방법 알아볼게요 (0) | 2022.06.18 |
---|---|
모기 퇴치하는 법 확인해보세요 (0) | 2022.06.12 |
오래된 비누 활용법 확인해보아요 (0) | 2022.06.04 |
과일껍질 활용법 확인해볼까요 (0) | 2022.06.01 |
수박껍질 활용법 확인해보아요 (0) | 2022.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