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설날이나 추석 등의 명절은 평소 만나기 힘들었던 가족과 친지를 찾기 때문에 좋은 시간을 가지기도 하지만, 가사 노동과 장거리 운전 등으로 인한 각종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유발하기도 합니다. 명절증후군은 명절을 보내면서 생기는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 및 피로 현상을 말하는데요. 우리나라 고유의 문화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일종의 문화 증후군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주로 장시간 운전을 할 경우나 많은 시간동안 가사노동을 하는 경우 발생하는데요. 명절 전후 2~3일에 가장 심하게 나타나고, 보통 1주일쯤 지속되어 명절이 끝나면 풀리게 됩니다.
명절증후군 증상 발생 시 소화가 원활히 되지 않는 증세와 복통, 목 근육의 경직, 허리 및 어깨 통증, 온 몸에 힘이 없는 증상 등 다양한 신체적 증상이 따르게 되는데요. 평소 관절과 허리, 위장 관련 질환이 있었던 사람들은 증세가 더욱 악화되는 양상을 띠기도 합니다. 또한 명절증후군의 증세 악화는 갑자기 화가 나는 등의 감정 변화를 일으키기도 하며, 정신적인 불안과 두근거림, 불면증 등을 유발하게 됩니다. 명절증후군을 효과적으로 극복하려면 긴장된 근육과 마음을 이완시키고, 흐트러진 생체 리듬을 되돌리기 위한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명절증후군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여러 방법들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명절증후군 극복하는 법
1. 스트레칭
명절 시기에 장시간 운전과 가사 노동은 근육의 경직을 유발하고, 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는데요. 스트레칭을 경직된 근육을 이완시켜주고, 피로를 빠르게 회복시켜 연휴 전의 정상적인 생체리듬으로 돌아가게 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특히 스트레칭은 명절 기간 내에 악화되기 쉬운 손목터널증후군과 여러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 완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꾸준히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가볍게 할 수 있는 산책과 조깅 등도 경직된 근육을 풀어주고, 피로를 빠르게 회복시켜주는데 효과적인 작용을 하게 됩니다.
2. 반신욕 및 족욕
반신욕은 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의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해주고, 근육과 내장기관으로 공급되는 산소 및 영양소를 늘려주기 때문에 빠른 피로회복과 불규칙해진 신체 리듬을 정상화하는데 뛰어납니다. 그리고 온찜질과 족욕 역시 피로회복 및 경직된 근육과 관절을 풀어주는데 좋은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충분한 수면
명절에는 운전과 음주, 가사노동 등으로 인해 밤을 새우거나 생활이 불규칙해져 평상시 수면 주기에도 영향을 끼치게 되는데요. 따라서 명절 기간 중에도 최대한 수면 리듬이 깨어지지 않도록 일정한 시간에 잠을 자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연휴 마지막날에는 평소보다 일찍 취침하여 어긋한 생체 주기를 원래대로 되돌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4. 명절 음식 섭취 조절
고기나 튀김, 전 등의 명절 음식 대부분은 기름에 볶고, 굽는 등의 조리 과정을 거치기에 지방 함유량이 많은데요. 지방이 많은 음식은 위의 소화능력을 떨어뜨림으로써 배탈이나 소화불량 등의 여러 소화기 관련 이상 증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위염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름진 음식의 과잉 섭취를 적절히 조절하고, 자극이 적고 부드러운 음식들을 섭취해 속을 편안하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그 외 극복 방법
명절 시기에 받는 스트레스를 적절히 해소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좋아하는 취미활동이나 여가활동을 하는 것도 좋은 명절증후군 극복 방법에 해당됩니다. 또한 연휴 후유증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수분과 비타민이 풍부한 제철 과일과 채소를 섭취하는 것이 좋으며, 몸과 마음의 스트레스와 피로를 해소하기 위해 티타임, 아로마테라피 등을 하는 것도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상 명절증후군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여러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소개된 여러 방법들이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며 오늘 하루도 즐겁고 행복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 방광염 증상 및 예방 방법 확인하세요 (0) | 2021.09.26 |
---|---|
얼리면 안 좋은 음식들에 대해 살펴볼게요 (0) | 2021.09.25 |
루테인 풍부한 음식 정보 알아보아요 (0) | 2021.09.23 |
뇌경색 전조 증상 및 예방법 확인하세요 (0) | 2021.09.18 |
풋고추 효능 및 부작용 살펴볼게요 (0) | 2021.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