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구 벽의 가장 안쪽을 덮고 있는 투명한 신경조직인 망막은 빛에 대한 정보를 감지해 뇌로 보내는 역할을 하고 있는데요. 망막박리는 이런 망막의 일부 혹은 전체가 안구 벽에서 떨어지게 되어 발생하는 증상을 일컫는 것으로, 분리가 일어나는 발생 기전에 따라서 열공성을 비롯하여 삼출성, 견인성 등의 진단명으로 분류가 됩니다. 망막박리는 고도근시 및 노화와 같은 요인에 의해 유리체가 빈 공간이 생기게 되거나, 액화가 되어 망막과 분리되는 과정 중 망막이 찢어지게 되고 이 부분에 액체가 유입되어 발생하는 열공성의 형태가 망막박리 발생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맥락막과 망막의 염증으로 삼출물이 고여 망막이 들뜨는 삼출 망막박리와 견인막의 수축으로 망막이 떨어져 발생하는 견인 망막박리 등이 해당..
건강
2020. 5. 23. 00:09
공지사항